git은 버전관리를 위한 툴이라고 했다. 그러면 현재 프로젝트 내의 특정 파일의 변경상태를 git에 특정한 버전으로 저장해놓고 싶을때가 있을 것이다.
Commit과 add
이러한 특정한 버전을 commit이라고 부르는데, 그래서 commit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git commit이다.
그러면 이러한 버전을 관리하기 위해선 해당 버전에 속하는 파일들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한 파일을 추가하는 것을 git add로 할 수 있다.
Commit : 특정한 버전
git add: 특정한 버전에 속해지는 변경사항이 있는 파일을 추가하는 명령어
사용방법
Add
특정한 버전을 만들기 전에 그 버전에 속해지는 파일을 담는 과정이 git add이다
$git add 특정파일
변경사항이 있는 모든 파일을 해당 버전에 모두 넣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 사용
$git add .
Commit
버전에 담고 싶은 변경사항이 있는 파일들이 담겨졌다면 해당 버전을 만드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는 git commit으로 수행된다.
$git commit -m "commit 메세지"
-m 옵션은 커밋메세지도 함께 적어줄 수 있는 옵션으로 -m 다음에 해당 버전의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m 옵션을 추가해주지 않으면 git bash가 열리는데 i를 누르고 커밋메세지를 작성한 후 esc와 :wq를 눌러 vim을 빠져나오면 커밋이 정상적으로 된다.
지금까지 어떤 commit이 있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아래 명령어를 적어 확인할 수 있다.
$git log
add와 commit을 동시에 해줄 수도 있다.
대신 이 방법은 새로 추가된 파일에는 적용이 안된다. 그땐 add와 commit을 따로 진행해주어야 한다.
$git commit -am "commit 메세지"
끝!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ignore을 사용해 git이 관리하지 못하는 파일 설정하기 (2) | 2023.11.22 |
---|---|
[Git] Git 사용자 등록하는 방법 (1) | 2023.11.22 |
[Git] Git이란? 왜 배워야 하는가? (2) | 2023.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