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5월 14일에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을 보고 왔습니다!
다행히 합격해서 후기를 적을 수 있게 되었네요..
자격증 시험 팁을 적어두면 나중에 도움될 것 같아서 간략하게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은 🟡
총 필기와 실기를 모두 합격해야만 취득할 수 있다.
1년에 필기와 실기가 총 3번씩 열리기 때문에
시험신청을 놓치면 텀을 두고 시험을 봐야함을 인지하고
놓치지 않도록 꼭 날짜를 확인해야 한다.
24년 시험은 아래와 같이 진행된다.
(나의 경우 4/16에 신청했어야했는데 날짜를 잘못저장해놔서 17일에 신청을 했고,
시험장소 선택에 있어 선택지가 적었지만 원하는 날짜에 신청할 수 있었고,
수도권은 자리가 충분해보였다)
🟢 필기시험 합격 기준 🟢
필기시험에는 총 5과목이 존재한다.
1. 소프트웨어 설계
2. 소프트웨어 개발
3. 데이터베이스 구축
4.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5.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한 과목당 20문제씩 있으며(총 100문제),
과목당 40점은 넘어야하고,
총 5과목의 평균이 60점을 넘으면 합격이다.
🟡 공부법 🟡
공부기간 : 1주
(원래 3주인데 2주는 거의 버리고 마지막 한주 정도 몰입해서 공부했다..)
책 : 시나공
좋은 점 : 개념당 출제된 년도가 표시되어 있어, 기출에 대비할 수 있음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0540406
2024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본서 | 길벗알앤디(강윤석, 김용갑, 김우경, 김종일) - 교보문고
2024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본서 | A-Z까지 기본 탄탄, 〈2024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본서〉2024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본서는 기출문제를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출제 경향을 완벽
product.kyobobook.co.kr
공부방법
- 실패 공부법 : 처음에 정말 비효율적으로 공부해서 챕터별로 나눠 매일 공부하려고 했지만
개념이 너무 많아서 결국 이전에 배운 내용 다 까먹었다.
5과목이었던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는 기출로만 공부했다..
- 좋았던 공부법 : 시험 이틀 전부터 기출로 문제를 풀고
틀리거나 헷갈린 문제에 나온 개념들 익히는 식으로 진행하니
훨씬 암기가 잘되고 기억하기고 쉽다!
- 추천 공부법 -
시나공 문제집을 보면 5과목에 대한 개념의 기출을 모아놓는다.
A, B, C, D의 중요도가 나누어져 있는데,
A, B 정도는 개념에 대해 살펴보며 모아져있는 기출을 풀고 (오답확인이 중요하다!)
다 풀었다면, 기출만 모아져있는 기출집에서 문제를 풀며
틀린 문제에 대해 개념을 챙기는 방식이 좋다.
정처기 필기는 나온 문제가 그대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문제 자체가 똑같이 나온다)
따라서 여러번 반복 출제되는 문제들은 정답도 알아서 익혀지게 될 것이다.
🟢 TIP 🟢
1. 노션이나 문서에 기억해야하는 개념을 따로 짧게 적어두고
이동시 반복해서 읽는 것이 도움이 되었다.
과목별로 짧게 중요한 개념을 정리해놨었는데,
시험장으로 이동하면서 3번은 반복적으로 읽을 수 있다.
2. 시험볼 때 헷갈리는 문제나, 모르는 문제는 문제번호를 적어두는 것이 좋다.
결국 평균 60점을 넘으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5과목 다 풀었을때 적어놓은 문제들이 다 틀렸다고 가정하고
합격기준에 넘었는지 짐작이 가능하다.
(대신 적지 않은 문제들은 무조건 맞았다고 확신해야한다..)
실제로 나도 과목당 모르는 문제들을 적어놨는데
다시풀려고 확인해보니 모두 60점 이상이어서 바로 제출했다.
총 평균 76점으로 높진 않은 점수이지만 합격했습니다!
전공자이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들어본 내용들이 많았지만
5과목 모두 외울 내용이 많이 있기 때문에
자주 출제되는 문제들은 꼭 암기하고 시험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이제 실기 준비하러 총총총,,
'Private >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4회 SQLD 합격 후기(전공자, 다른 일 하면서 7일 공부) (4) | 2024.11.07 |
---|---|
두드리면 열리더라 (0) | 2024.05.22 |
롱커톤 세번째 회고(12/20) (2) | 2023.12.21 |
롱커톤 두 번째 회고(12/19) (2) | 2023.12.21 |
롱커톤! 대망의 첫날 회고(12/18) (2) | 2023.12.19 |